
|
|
만화의 날 준비위원회(위원장 신일숙, 이하 위원회)는 오는 11월 3일(월)에 개최되는 '제25회 만화의 날' 기념식에서, 한국 만화계에 지대한 공헌을 한 공로상 수상자로 김세영 작가와 남정훈 작가를 선정했다고 29일 밝혔다.
한국 만화 스토리의 살아있는 역사 : 김세영 작가
1973년 데뷔 이래 김세영 작가는 약 200여 편에 달하는 방대한 작품 스토리를 창작하며 한국 만화사의 굵직한 한 획을 그어왔다. 허영만 화백과 함께 호흡을 맞춘 <오! 한강>, <벽>, <미스터 Q>, <타짜> 시리즈 그리고 이후 <레인보우 체이서>, <갬블시티>, <갬블파티>등 수많은 걸작을 통해 재미를 넘어선 문학적 깊이와 시대를 통찰하는 서사적 강렬함을 선보였다. 김세영 작가는 재미와 품격을 동시에 추구하며 우리 만화의 격을 한 단계 높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전문적인 스토리 작가의 역할이 미비했던 시절, 그는 자신의 실력과 작품의 성공으로 스토리 작가가 독립적인 창작 주체로 설 수 있는 길을 개척하며 만화계에 새 지평을 열었다. 이번 수상은 그의 탁월한 공로뿐 아니라 그동안 스포트라이트를 받지 못했던 스토리 작가들의 위상을 재평가하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만화가의 꿈 심어준 친구들께 감사…다시 시작할 새로운 노래를 부르겠다"
공로상 수상 소감에서 김세영 작가는 "1973년, 특별한 인생 계획 없이 방황하던 시절, 두 친구의 제안으로 시작된 우연한 계기가 저를 만화의 길로 이끌었다"라고 회고하며, 지금의 자신을 있게 한 '두 친구'에게 늦게나마 감사를 전하고 싶다고 밝혔다. 그는 "데뷔 초 '스토리맨'으로 불리며 무명으로 활동했던 모든 동료 스토리 작가들의 헌신 위에 이 상이 주어졌음을 잊지 않겠다"라며, "이 영광을 선배님과 동료 그림 작가들, 그리고 모든 스토리 작가들에게 돌린다"라고 밝혔다. 김세영 작가는 긴 투병 생활 속에서도 창작열을 멈추지 않고 있으며, "이 공로상이 내 만화 인생의 마무리가 아닌, 다시 시작하는 계기가 되어 53년 전 데뷔작 <새로운 노래>처럼 꿈의 노래들을 다시 부르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피력하며 새로운 출발을 다짐했다.
부산 만화 생태계의 든든한 등대 : 남정훈 작가
1990년대부터 활동을 시작한 남정훈 작가는 부산 MBC 어린이 문예 연재만화로 데뷔, 2010년대 웹툰 <스몰>, <마스코 마스코> 등으로 성공하며 왕성한 창작 활동을 펼쳤다. 특히 그는 부산글로벌웹툰페스티벌을 기획하고 현재까지 총감독을 맡아 지역 만화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 출판 만화 쇠퇴기에 많은 작가들이 떠날 때도 부산을 지키며 길 잃은 후배들에게 따뜻한 등불이 되었고, 부산예술대학교 겸임교수로서 후학을 양성했다. 또한 흩어진 지역 작가들을 모아 부산경남만화가연대를 조직하며 지역 만화 생태계의 굳건한 뿌리를 내렸다. 그의 헌신과 열정은 부산을 수도권 외 지역의 성공적인 '만화 벤치마킹 대상'으로 만들었고, 그 공로로 이번 공로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9년의 부산글로벌웹툰페스티벌 여정.. 이 상은 모든 부산 만화인들의 것!"
남정훈 작가는 "올해로 부산글로벌웹툰페스티벌 감독을 맡은 지 아홉 해째, 이렇게 만화의 날에 공로상을 받게 되어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라고 밝혔다. 그는 "축제를 시작할 때 '지역에서 웹툰 페스티벌이 가능할까?'라는 수많은 의문 속에서도 '가능하다'는 믿음 하나로 부산 작가들과 함께 걸어왔다"고 회고했다. 특히 남 작가는 "이 상은 저 혼자만의 것이 아니라, 매년 뜨거운 열정으로 현장을 꾸민 부산 지역 웹툰 작가들과 보이지 않는 곳에서 묵묵히 모든 과정을 책임져온 많은 분들의 노고가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라며, "그들 한 분 한 분이 이 상의 진정한 주인공"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부산 지역 작가들이 더 넓은 세상으로 나아가고, 웹툰이 도시 문화와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길을 계속 모색하겠다"라는 포부를 밝혔다.
만화의 날 준비위원회의 신일숙 위원장은 "김세영 작가는 우리 만화 스토리의 지평을 넓히고 후배 스토리 작가들에게 영감을 준 진정한 스승이자 선구자이며, 남정훈 작가는 지역 만화 생태계를 지켜내고 부산을 한국 만화의 새로운 거점으로 만든 든든한 등대와 같은 존재"라고 강조하며, "두 분 작가의 공로상 수상은 만화 산업의 성장에 가장 큰 기여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던 분야와 지역의 중요성을 재조명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서 신 위원장은 "특히 올해는 만화계 거의 모든 협단체가 한마음, 한뜻으로 만화의 날을 준비하는 만큼 모든 만화인들이 함께 자긍심을 느끼고, 더 나아가 한국 만화가 세계적으로 뻗어나가는 새 시대를 다짐하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라고 덧붙였다.
2001년 국가 공식 기념일로 제정된 '만화의 날'은 1996년 11월 3일 여의도 광장에서 만화가들이 '만화 심의 철폐를 위한 범만화인 결의대회'를 열고 표현의 자유를 수호한 것을 기념하는 날이다. 올해 '제25회 만화의 날' 기념식은 11월 3일(월) 청년공간JU 다리소극장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 |
| |
| |
| |
|
| 관련뉴스 |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