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인텔이 서울 강남역 인근 오퍼스 407빌딩에서 최신 AI PC를 체험할 수 있는 ‘인텔 서울 팝업스토어’를 운영하는 가운데 네덜란드의 e스포츠 팀이자 세계 4번째로 프로게임단을 창단하며 25년째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서구권 대표 e스포츠 팀인 ‘팀 리퀴드’가 같은 현장에서 팝업존을 운영하고 ‘스타크래프트 리유니언’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인텔(Intel) 과 에일리언웨어(Alienware) 가 함께하는 글로벌 스토어 투어의 첫 일정으로, 서울을 시작으로 런던·뮌헨·뉴욕·파리 등 세계 주요 도시를 무대로 순차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인텔 × 팀 리퀴드 스토어’는 단순한 팝업 공간을 넘어, e스포츠 팬들이 직접 역사를 체험하고 기술의 진화를 느낄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체험형 이벤트가 진행된다. 또한 현장에는 팀 리퀴드의 전설적인 선수들이 한자리에 모여 25년의 역사를 되돌아보고, 한국 팬들과 교감하는 특별한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특히 11월 1일부터 진행되는 ‘인텔 x 팀 리퀴드 월드 투어’ 프로그램에서는 팬들과의 소통은 물론 ‘스타크래프트 2 쇼 매치’가 진행되며 팀 리퀴드 선수 ‘Cure’와 ‘Clem’으로부터 독점 코칭을 받아볼 수 있는 ‘전문가에게 배우기’ 이벤트가 진행되며 11월 2일에는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 ‘CoreJJ’, ‘Yeon’, ‘Umti’ 선수와 함께 하는 이벤트 매치 및 프로선수들과 함께하는 대회 라이브 뷰잉 파티가 진행된다.
게임포커스는 창단 25주년을 기념해 전세계에서 가장 먼저 서울에서 스타크래프트 리유니언 행사를 개최하며 전세계 e스포츠 팬들과 소통에 나서는 팀 리퀴드 공동 대표이자 창립자인 ‘빅터 구센스(Vitor Goossens)’, 팀 리퀴드 소속의 한국인 프로게이머 ‘김도욱(Cure)’ 선수와 함께 과거 팀 리퀴드에 소속돼 활약했던 외국인 최초 GSL 4강제 진출해 화제가 된 ‘조너선 월시(Jinro)’, ‘윤영서(Teaja)’, ‘송현덕(HerO)’ 선수와 만나 이야기를 나눴다.
이번 인텔과 에어리언웨어와의 협업으로 한국에 오게 되었는데 한국에 오게 된 소감이 궁금하며 첫 방문지로 한국을 선택한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하다
빅터 : 인텔과 협력하면서 전세계 투어를 다니고 있다. 서울, 런던, 뉴욕, 파리 등을 주요 도시를 투어하게 된다. 협업 과정에서 출발지를 놓고 어떤 도시를 가장 먼저 선택할지를 고민했는데 아무래도 팀 리퀴드의 뿌리가 한국과 깊게 연관되어 있다 보니 한국을 출발지로결정하게 됐다.
(빅터에게) 한국에 얼마만에 오게 됐는가? (조너선 월시에게) 계속 은퇴 이후 한국에서 살고 있는데 근황이 궁금하다
13년 만에 오게 됐다. 윤영서 선수와 인연을 맺고 난 이후로도 비공식적으로 서울에 몇 번 방문했었다. 방문할때마다 서울이 정말로 많이 변한다는 것을 느낀다.
조너선 월시 : 은퇴 이후 포커를 시작했다. 엄청 열심히 하는 것은 아니지만 지속적으로 대회에 참가하고 있으며 한국에 살면서 와이프도 만나고 잘 지내고 있다.
진로 선수는 프로게이머 활동 외에도 격투기 선수로 활동한 이력이 있다. 일각에선 격투기 준비를 했다는 소문도 있었는데
은퇴 후 1~2년 동안 선수로 활동하기 위해 준비를 했는데 아무래도 나이도 있고 준비가 어려워 포기를 했다.
태자 선수는 의경 전역 후 근황이 궁금하다
전역 후 2년 정도 쉬었다. 더 이상 쉬면 안되겠다는 생각에 공부를 시작했고 현재는 공무원 시험에 합격을 해 교육 대기 중인 상황이다.
25년 동안 E스포츠 팀을 운영중이다. 장기간 운영하기 쉽지 않은데 오랜기간 팀을 운용할 수 있는 비결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힘든 일이다. 첫 10년은 취미로 운영해왔는데 그 10년 동안의 운영 과정에서 생겨난 열정과 애정이 지금까지 운영할 수 있었던 큰 원동력이자 비결이라고 생각한다.
(김도욱 선수에게) 현재 현역 프로게이머인데 현재의 스타크래프트2 E스포츠 시장을 평가한다면?
프로리그가 사라지면서 인기가 많이 줄어들긴 했지만 e스포츠 월드컵 종목에 편입되면서 인기가 조금씩 상승하는 것을 느낀다. 또 오랜기간 응원주셨던 팬들과 온라인 대회 등등이 지속적으로 운용되는 만큼 큰 규모의 대회가 지속적으로 개최된다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흥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팀 리퀴드는 MMORPG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프로팀을 운용중이다. 최근 와우의 프로팀의 팀 운용 비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며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오는데 현재 운용 상황은 어떠한지 궁금하다. 구단을 운용하는 구단주의 입장에서 현재의 상황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궁금하다
전세계에 몇 안되는 와우 프로팀을 운용하고 있다. 팀 리퀴드의 철학은 모든 유니크한 팀을 운용하는데 있다. 와우 방송의 경우 방송사와 협력해 진행을 하고 있고 방송사와 함께 주최하는 대회를 진행하는 만큼 팬들과 소통하기도 편하고 뷰어쉽도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비록 와우 대회가 일반적인 대회가 아니라 스피드런 형태지만 이러한 소통과 굿즈 판매 등 기존 대결 방식의 팀을 운영하는 다른 종목보다는 매우 독특한 구조를 갖고 운영을 하고 있다.
25년의 구단 운영 역사 중 가장 어려웠던 시기를 어떻게 극복했는지 궁금하다
앞서 잠깐 얘기했지만 10년여를 취미로 운영하다가 본격적으로 운영해볼 생각에 소규모 사업체로 전환하면서 팀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힘든 시기를 겪었다. 항상 하는 말이지만 열정과 애정이 있었기에 이를 극복할 수 있었고 지금은 300명의 스텝, 150명의 선수들이 있어 예전보다 일이 편해졌다(웃음). 개인적인 목표가 분명하고 내 꿈을 향해 달려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조너선 월시 : 사회 초년생으로 경험이 없고 부족한 우리를 잘 이끌어줬기에 지금의 우리가 있을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조너선 월시, 윤영서, 송현덕 선수에게) 과거 팀 리퀴드를 이끌었던 대표 선수였는데 은퇴 후 이번 자리를 통해 뭉치게 됐는데
송현덕 : 은퇴 후 10년이 지나 까마득한데 지금도 너무나 좋은 추억으로 남아있고 지금도 그때 생각하면 그립기도 하고 , 지금 제주도에서 현재의 삶을 살고 있다. 음식 장사도 해보고 여러일을 시도해보고 있으며 스타크래프트에 미련이 남아 스타크래프트1 방송을 하고 있다.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다시 나를 찾아주어서 영광스럽게 생각하고 팀 리퀴드에 있었다는 자부심을 갖고 있는 만큼 반가운 얼굴들을 만나 기분이 좋다.
윤영서 : 은퇴한지 시간이 지났지만 이번 행사를 통해 나를 찾아주어 고맙게 생각한다. 열심히 했기에 좋은 기회가 오지 않았나 생각한다.
조너선 월시 : 예전엔 긴장됐는데 지금은 선수가 아니라 일반인의 신분으로 오게 된 만큼 마음이 가볍고 익숙한 얼굴을 다시 볼 수 있게 되어 기쁘다.
어제 홍진호 선수가 이벤트 경기를 통해 이윤열 선수와 매치를 진행해 화제가 됐다. 만약 스타크래프트2 종목으로 이러한 이벤트 매치가 진행된다면 붙어보고 싶은 선수가 있는가?
빅터 : 프로게이머로 돌아간다면 임요환 선수와 붙어보고 싶다. 연습에서는 몇 번 이겨본적이 있었는데 대회에서는 많이 패배했다. 임요환 선수는 피지컬 적인 부분도 좋았지만 게임에 접근하는 방식이 그 시대 선수들과 다른 부분이 있고 그 점을 존경한다.
송현덕 : 특별한 개인 보다는 팀 리퀴드 선수들과 다시 한번 팀 데스매치를 해보고 싶다.
윤영서 : 공무원이 되기에 게임을 많이 할 수 없게 되겠지만 결승에서 많이 만나봤던 송현덕 선수와 붙어보고 싶다
조너선 월시 ; 많이 만났던 선수 GSL 4강에서 만났던 'MarineKing' 이정훈 선수와 다시 한번 겨뤄보고 싶다. 당시에는 패배했지만, 더 잘할 수 있었다는 아쉬움이 남아 있다.
김도욱 : 현직 프로게이머인 만큼 은퇴한 선수와 붙으면 잃을 것이 많기에 붙지 않는 것이 좋을 것 같다(웃음). 개인적으로 플레이 스타일이 궁금하기도 했고 은퇴한 빅터 대표와 붙어보고 싶다.
(송현덕 선수에게)은퇴 이후 게임 방송을 진행하고 있다. 요즘 프로게이머를 꿈꾸는 청소년들이 많은데 이들을 위한 조언을 한다면?
아무래도 열정이 가장 중요한 것 같다. 저는 프로 무대에 오르기 위해 학창시절을 포기하고 집중했다. 다른 프로선수들도 마찬가지겠지만 정말로 많은 것을 포기하는 것들을 감내 하면서도 프로게이머를 하고 싶은지를 진지하게 고민했으면 좋겠다. 그리고 고민이 끝났다면 다른 것을 보지 말고 한 길을 향해 올인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스타크래프트 종목에 대한 인기가 하락세임에도 팀 리퀴드가 지속적으로 투자를 진행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스타크래프트는 흥행 여부를 떠나 우리에게 굉장히 중요한 게임이다. 성적면에서도 유의미한 성적도 지속적으로 거두고 있다. 김도욱 선수가 작년 EWC에서 보여준 성적을 통해 더 성장할 수 있었다. 오늘의 팀 리퀴드는 오늘 이 자리에 함께 한 모든 선수들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며 지금 활동하는 프로 선수들이 있었던 것들도 이전에 팀 리퀴드를 위해 헌신한 모든 선수들이 개척했기에 가능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팀 리퀴드는 선수와 구단 사이도 각별하고 팬들 역시 열정적인 커뮤니티를 운영하고 있는데 팬과 선수들을 계속해서 뭉치게 만들 수 있는 원동력은 무엇인가?
스타 초창에는 아무래도 서로가 서로에게 의존할 수 밖에 없는데 이렇게 서로 의존하고 응원하며 경기가 있던, 없던 서로가 서로를 응원해주는 그러한 문화가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기에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조너선 월시 : 팀 리퀴드에 처음 입단했을 때 좋은 실력도 요구 조건이었지만 모든 선수들이 좋은 인성을 갖추고 있었고 그것을 팀에서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했다. 그러한 문화가 있었기에 오늘의 팀 리퀴드가 있었다고 생각한다.
(빅터, 조너선 월시에게) 스타리그가 유행했을 당시 이미 성장했던 국내와는 달리 스타크래프트를 하기 위해 한국에 직접 뛰어들었던 과정에서의 외국인 입장에서 어려운 점은 없었는가?
빅터 : 어렵다기 보단 최고의 순간이라고 평가하고 싶다. 최고의 실력자가 되기 위해 한걸음 한걸음 다가가는 과정이 재미있었다. 작은 침대에서 꿈을 키우던 과정, 19살의 제가 했던 그 모든 경험들이 42살인 지금의 내가 돌이켜 봤을 때 어려움이 아닌 최고의 순간이었다.
조너선 월시 : 나 또한 마찬가지다. 다만 개인적으로 승부욕이 많아 패배를 싫어했기에 14시간 동안 연습하고 패배하면 감정적인 부분이나 멘탈적인 부분의 기복이 있어 우울했고 노력에 대한 후회가 있었다. 하지만 한국에 오고 나서의 모든 과정은 즐거운 기억밖에 없었다.
팀 리퀴드 및 응원해주는 팬들을 위해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빅터 : 이 자리에 위대한 선수들과 함께 할 수 있음에 감사함을 느낀다. 25년 동안 팀 리퀴드를 운영해 왔는데 앞으로의 25년 동안 더 열심히 구단을 운영하면서 좋은 모습을 보여줄 수 있도록 하겠다.
김도욱 : 옛 선수들과 만나서 반갑다. 앞으로도 팀 리퀴드의 정신을 이어받아 좋은 선수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겠다.
윤영서 : 25주년이 되어 기쁘다. 내 자식이 25년 뒤에 팀 리퀴드 선수로 활동하는 것을 상상하는 재미있는 생각을 하게 된 뜻깊은 자리였다.
조너선 월시 : 팀 리퀴드는 내 삶에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앞으로 25년 동안 팀 리퀴드의 일원으로 계속해서 남아있었으면 좋겠다.
송현덕 : 먼저 빅터에게 25주년을 축하한다고 말해주고 싶다. 팀 리퀴드 최초의 한국인 소속으로 오늘날 팀 리퀴드 성장에 조금이나마 기여했다는데 자부심을 가진다. 저를 기억해주시는 모든 팬분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
| |
| |
| |
| |
|
| 관련뉴스 |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