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제공: 라이엇 게임즈
돌고 돌아 젠지와 T1의 매치로 성사된 ‘2025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2025 MSI)’의 결승전이 캐나다 밴쿠버에서 13일 개최됐다.
2025 MSI는 약 2주 간 전 세계 최고 팀들의 명승부를 이끌어내며 매일 화제를 낳았다.
그 중에서도 LCK(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를 대표하는 젠지와 T1은 다른 지역을 상대로 압도적인 무력과 뛰어난 전략을 선보이며 LCK가 왜 근 2년 간 ‘리그 오브 레전드(LoL)’ 글로벌 e스포츠를 점령하고 있는지를 한 번 더 증명했다.
그 결과 2025 MSI는 최초로 LCK 내전 결승전이 성사된 가운데 양 팀은 오늘 경기에서 지금까지 숨겨 온 픽까지 꺼내며 치열하게 싸웠다.
올해 들어 젠지가 T1을 상대로 연전연승을 이어가고는 있었지만 ‘2024 LoL 월드 챔피언십’에서 강력한 일격을 당한 경험이 있어 쉽사리 승부 예측이 불가능했던 이번 결승전의 우승 팀은 디펜딩 챔피언 젠지였다.
1세트
승자조 경기에서도 명승부를 보였던 양팀은 1세트부터 날 선 폼을 보여주며 수준 높은 경기를 보여줬다.
블루 진영에서 1세트를 시작한 젠지는 최근 1티어 픽인 미드 탈리야를 뽑은 다음 빠르게 루시안, 브라움이라는 바텀 조합을 완성한 다음 잭스와 세주아니라는 대규모 교전에서 진형을 붕괴시키기 좋은 조합을 선택했고 이에 맞서는 T1은 상태이상 기술을 다수 보유한 고 티어 챔피언을 선택하고 경기에 임했다.
조합 특성 상 극 초반 라인전의 주도권은 젠지가 가져가며 무난하게 첫 드래곤까지 획득하며 초반 좋은 흐름을 가져갔다.
하지만 T1은 그 흐름이 이어지지 않게 자신들의 턴이 돌아올 때마다 챙길 수 있는 오브젝트와 이득을 챙겼고 특히 두 번째 드래곤 교전에서 먼저 자리를 잡고 드래곤 버프를 획득한 젠지와의 교전에서 2킬 1데스를 기록한데 이어 전령을 이용해 미드 라인 2차 타워까지 밀어내며 시야의 이점을 챙기는데 성공했다.
아울러 세번째 드래곤까지 잡아내며 드래곤 버프의 숙제도 해결했지만 젠지 또한 경기를 이대로 넘겨주지 않았다. 젠지는 바로 아타칸으로 공격하며 T1 선수들을 불러낸 것. 먼저 자리를 잡고 강타의 우의가 있던 젠지가 아타칸 버프를 획득했지만 뒤이어 진행된 교전에서 서로 킬을 내어주며 경기는 23분이 지나가도 여전히 팽팽한 상황이었다.
하지만 이 균형이 깨진 것은 네 번째 드래곤이 등장한 이후였다. 미리 시야를 확보해 둔 T1이 드래곤과 교전에서의 대승 이후 바론 버프까지 가져간 것. 바론 버프를 획득한 T1은 젠지의 2차 타워를 하나하나 밀어내며 본인들의 영역을 빠르게 넓혀 나갔다.
물론 그 과정에서 젠지도 빈틈을 노려 T1의 탑 2차 타워와 1킬을 챙기며 나름 최선의 방어를 했지만 이미 양 팀의 골드 및 아이템 차이가 크게 벌어진 상태였다.
뒤이어 T1은 본인들의 아이템 강점을 내세우며 다섯 번째 드래곤 사냥 이후 진행된 교전에서 도란(최현준) 선수의 환상적인 돌진을 시작으로 적을 한번 더 몰살하고 바론 버프를 또 다시 획득하며 1세트 승리를 기록했다.
2세트
예상치 못한 일격을 받은 젠지가 한 번 더 블루 진형을 선택하고 경기를 시작했다.
젠지는 상체는 사이온, 바이, 라이즈라는 돌진 조합을 선택한 반면 바텀은 경기가 길어질 때를 대비 해 후반을 도모할 수 있는 세나를 가져갔다. 반면 T1은 카밀과 오공, 갈리오, 코르키라는 기동성이 좋으면서도 뽀삐 등을 선택하며 적의 돌진도 어느 정도 방어할 수 있는 조합을 완성하고 2세트에 돌입했다.
2세트 경기는 젠지 기인(김기인)의 사이온이 초반부터 좋은 라인전과 킬적인 이득으로 초반부터 과성장하면서 경기 흐름이 젠지 쪽으로 좋게 흘러갔다.
기인을 중심으로 주도권을 잡은 젠지가 주요 오브젝트를 쉽게 획득하는 상황에서 T1도 성장이 밀린 도란 대신 페이커의 갈리오를 사이온과 맞대게 만들어 카밀의 성장을 도모했고 일부 교전에서 슈퍼 플레이로 킬 교환을 하기도 했지만 시간이 갈수록 기인의 영향력은 협곡 전반으로 퍼져 나가기 시작했다.
결국 경기 극 후반 전투의 유지력을 높아주는 바다 영혼까지 획득한 젠지는 바텀 라인에서부터 T1의 본진으로 돌격 넥서스를 부수는데 성공했다.
3세트
3세트는 2세트에서 다소 무기력하게 무너졌던 T1이 반대로 젠지를 무력으로 찍어 누르며 승리했다.
T1이 블루 진영으로 넘어간 상황에서 진행한 3세트, T1은 젠지가 오른, 녹턴, 아지르, 자야라는 대규모 교전과 밸류를 밸런스 좋게 챙긴 반면 젠지는 극 대규모 교젼 지향형 조합을 선택했다. 다만 T1은 마지막 서포터로 2025 MSI에서 전패를 기록 중인 레나타를 선택하면서 과연 케리아가 전패 기록을 끊을 수 있을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됐다.
초반부터 T1이 바텀 지역에서 1킬을 기록한 이후 바텀 라인 주도권을 가져갔으며 드래곤 버프까지 무난하게 가져가며 유리하게 경기를 끌고 갔다. 젠지는 초반 불리한 흐름을 조합의 강점인 교전을 이용해 풀어보려고 했으나 전령 지역에서 미리 자리를 잡은 젠지의 공격을 역습으로 잘 막아낸 T1이 한타에서 대승하며 미드 타워를 밀어내고 세 번째 드래곤 버프까지 획득하는데 성공했다.
여기에 T1은 아타칸 지역에서 또 다시 미리 자리를 잡아낸 젠지 선수들을 밀어내고 강타 스틸과 교전에서 승리하면서 또 한 번 팀의 체급 차이를 벌리는데 성공했다. 그 이후 T1은 교전 때마다 본인들의 광역 상태이상 기술을 적극적으로 사용해 젠지 선수들을 몰살시키며 최종 킬 스코어 20:2로 3세트를 승리했다.
4세트
T1의 우승이 단 한걸음 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젠지는 블루로 진영을 다시 옮겼다.
젠지는 리치가 길고 후반을 도모하는 조합을 선택한 반면 T1은 단단한 상체 뒤에서 흐웨이와 징크스가 활약할 수 있는 조합을 완성했다.
경기 초반 T1이 기인의 제이스를 잘 막아내며 어느 정도 성장의 기틀을 마련했으나 전령 지역에서의 대규모 교전에서 본인들의 긴 리치를 활용한 대미지 누적과 케리아의 탐켄치를 잘 막아내며 불편한 구도를 해소했다.
이후 젠지는 맵을 넓게 쓰며 본격적으로 T1을 괴롭히기 시작했고 주요 오브젝트 싸움에서도 연전 연승하기 시작했다.
양팀 승부의 쐐기가 박힌 것은 아타칸 지역에서의 싸움으로 젠지는 텔레포트가 있는 페이커의 흐웨이가 미드 라인을 미는 것을 보고 룰러의 제이스와 듀로의 라칸을 별동대로 파견 흐웨이를 빠르게 끊어낸 데이어 4:5로 펼쳐진 대규모 교전 대승과 아타칸 버프까지 획득한 것.
급격하게 성장 차이를 벌린 젠지는 이후 진행된 바론에서의 대규모 교전에서의 대승 후 T1의 넥서스까지 부수는데 성공 세트 승리를 기록하며 2:2 동점으로 만드는데 성공했다.
5세트
오늘 경기의 승부를 가를 5세트 T1이 블루 진영에서 밴픽을 진행했다.
5세트는 양팀 모두 좋은 챔피언들이 빠진 상황에서 약점이 많은 조합을 선택했지만 밴픽 상황만 보면 탱커가 없는 상황이라 젠지 쪽의 리스크가 더 커 보였다.
하지만 경기 초반 구마유시와 케리아가 지키고 있는 탑 타워로 쵸비가 빠르게 텔레포트해 순간적으로 4:2 상황에서 깔끔하게 바텀 조합을 잡아내며 초반 라인전으로 게임을 굴려야하는 T1의 케이틀린, 카르마 조합의 힘을 완전히 무너트리게 됐다.
이후 발생하는 교전마다 쵸비의 오로라 영역전개와 미스 포츈의 쌍권총 난사가 유효타로 들어가며 젠지는 손쉽게 주요 오브젝트와 킬을 쓸어담기 시작했다.
물론 T1도 일부 교전에서 상대의 빈틈을 잘 찌르긴 했으나 비에고가 잡히면 마무리 딜이 없어져 교전 지속력이 점차 줄어들기 시작했다.
이후 젠지는 파이크의 강점을 살려 T1의 시야까지 빠르게 차단, 경기를 무난하게 운영하면서 그대로 승리까지 이끌어냈다.
한편 이번 2025 MSI에서 젠지가 승리하면서 젠지는 2연속 MSI의 챔피언이 됐으며 LCK 플레이오프에만 진출해도 연말 개최되는 최고 권위의 글로벌 대회 ‘2025 LoL 월드 챔피언십’에 진출할 수 있게 됐다.
사진 제공: 라이엇 게임즈
| |
| |
| |
| |
|
관련뉴스 |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