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와 관련해 생물학적으로 부모에게서 물려받은 것은 미래의 키가 아니라 잠재적인 키다. 생활환경, 건강상태, 영양상태, 노동의 강도에 따라 각자 체질에 입력된 키만큼 완전히 클 수도 있고, 또는 덜 클 수도 있다. 물질적으로 풍족한 가정의 자녀는 자신들의 잠재적 키에 가장 근접한다. - p.35여자들이 키 큰 남자들을 선호하는 것은 그들의 좋은 유전자 때문만이 아니라, 키 큰 남자들이 일터에서 보수를 더 잘 받고, 경력에서 성공할 확률이 더 높고, 부모로서 투자를 키가 작은 남자들보다 더 잘 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남자가 위축될지 모른다는 것이 여자들이 하는 걱정거리 중 하나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여성의 지위를 정하는 것은 남성의 우위다. 남자와 여자 사이에서 체격의 뒤바뀜을 여자들이 받아들인다는 것은 여자들로 하여금 지배하는 쪽이 자신이라는 생각을 들게 하고 이는 사회적으로 자신의 품위를 떨어뜨린다는 생각을 들게 한다. 격하된 남자와 함께 있게 되면, 여자들은 자신 또한 격하된 것으로 느끼게 된다는 말이다. - p.71키가 가진 권력적 요소는 개인과 개인간의 관계 뿐만 아니라 사회에서, 국가 규모에서도 찾을 수 있습니다. 키는 한 사회 내에서 권력층과 비권력층을 나누는 기준이 될 수 있고, 잘 사는 나라와 못 사는 나라의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1인당 국민소득은 성인남녀의 평균 신장과 긍정적인 관계가 있으며, 불평등이 심한 사회에서는 사회계층 간에 키 차이가 심하게 나타납니다.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