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 게임정보 > 뉴스

data.ai '2023년 앱 매출 현황 보고서' 발표...모바일 광고 시작 지속 성장세

2023년06월07일 09시18분
게임포커스 김성렬 기자 (azoth@gamefocus.co.kr)

 

데이터 및 분석 플랫폼 data.ai(구 앱애니)가 ‘2023년 앱 매출 현황 보고서’를 발표했다. data.ai의 분석에 의하면, 2022년 모바일 앱 시장의 전체 규모는 약 5,000억 달러(한화 약 655조 원)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data.ai가 모바일 앱 내 소비자 지출뿐 아니라 광고 매출까지 집계해 모바일 앱 시장 전체 시장을 분석한 보고서는 이번이 최초다. data.ai는 지난 5월 ‘Total App Revenue(앱 총 매출)’이라는 신규 서비스 출시를 통해 광고 및 인앱 소비를 결합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 분석, 광고 효과 분석 등 체계적이며 종합적인 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모바일 광고 – 여러 악재 뚫고 전년 대비 14% 고성장

전체 모바일 앱 시장의 성장을 주도한 것은 모바일 광고 분야였다. 모바일 광고는 2021년 대비 14% 성장한 3,360억 달러(약 440조 원)의 소비자 지출이 발생하며 전체 모바일 앱 시장의 66.8%를 차지했다.

 

모바일 광고의 높은 성장세는 유럽의 일반개인정보보호법(GDPR), 애플의 앱 추적 투명성 강화, 엔데믹 시대의 시작 등 여러가지 악재를 모두 극복하고 이뤄낸 성장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모바일 앱 시장의 미래 성장성은 여전히 더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분석된다.

 

모바일 광고 시장을 주도한 분야는 소셜 미디어 앱과 동영상 스트리밍 앱들로, 전체 광고 지출의 절반가량이 이 분야에서 이뤄졌다. 특히, 인스타그램 및 틱톡 등과 같은 소셜미디어 앱들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모바일 앱 시장의 소비자 지출을 주도해왔던 게임 앱들은 광고 분야에서도 힘을 발휘했다. 전체 모바일 광고의 약 35%가 게임 분야에 집행됐으며, 가볍게 즐길 수 있는 하이퍼 캐주얼 게임 및 퍼즐 게임 등이 광고 시장에서 높은 인기를 얻었다.

 

모바일 앱 내 지출 – 구독서비스 새로운 수익원으로 확실한 자리매김

모바일 광고 시장의 높은 성장세와는 달리 모바일 앱 내 사용자 지출은 2021년 대비 약 2%가 줄어든 1,670억 달러(219조 원)로 집계됐다. 모바일 앱 내 사용자 지출이 감소한 이유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급증했던 지출이 정상화되는 과정과 세계적인 경기 침체가 맞물린 결과로 분석된다.

 

 

게임 분야가 소비자 지출의 2/3를 차지하며 여전히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인앱 구독의 향후 소비자 지출을 이끌 성장엔진으로 주목받고 있다. 비게임 앱의 소비자 지출 중 71%가 OTT 등의 정기구독 등을 통해 발생했다. 특히, 게임 내 지출은 98%가 일회성인데 반해 구독 서비스의 경우 지속적이며 예측가능한 매출이라는 측면에서 수익화 전략 수립 시 더욱 매력적인 모델이기도 하다.

 

한국 – 카카오톡의 압도적 강세 속에 리워드 앱들의 선전 돋보여

 

 

국내 모바일 광고 수익 차트에서는 국민 채팅 앱 ‘카카오톡’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카카오톡에 이어서는 국내에서 잘 알려진 리워드 앱 ‘캐시워크’와 ‘OK캐시백’, 그리고 게임과 유틸리티 앱들이 뒤를 잇고 있다. 상위 앱들 모두 많은 이용자 수를 기반으로 모바일 광고를 통해 높은 수익을 달성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앱 스토어 수익 차트의 일회성 구매 매출 부문에서는 리니지 3대장(리니지W, 리니지M, 리니지2M)을 포함한 국내 인기 모바일 게임들과 더불어 국내외에서 활약하고 있는 네이버 웹툰이 비게임 앱으로는 유일하게 상위 10개 앱 안에 안착했다. 구독 매출 부문에서는 유튜브 프리미엄을 서비스하고 있는 유튜브에 이어 여러 OTT와 엔터테인먼트 구독 앱들이 상위권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데이비드 김 data.ai APAC 총괄은 “이번에 새롭게 출시된 ’앱 총 매출’은 모바일 경제를 완벽하게 파악하고 시장 내에서 효과적인 수익화 전략 수립을 할 수 있도록 명확한 그림을 제시해주고 있다.”며, “앱 총 매출의 광고 수익 분석과 인앱 구매 행동 분석을 통해서 시장의 전체 수익 구조와 흐름을 이해하면서 경쟁 앱을 벤치마킹하는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스튜디오 비사이드 '카운터사이드' 신규 서...
에이치투 2D 메트로바니아 액션 '테비' 실...
체리 최신 플래그십 무선 기계식 키보드 'P...
스포티파이, 밴드 '실리카겔'과 함께 선보...
넥슨 '퍼스트 디센던트' 1주년 온라인 쇼케...
kakao LINE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목록으로 목록으로 스크랩하기
로그인 한 사용자만 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숨기기
댓글 0 예비 베플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이 없습니다.
1

많이 본 뉴스

코난테크놀로지, 정부 AI에 100조원 투자 목표... '소버린 AI 개...
에이치브이엠, 이스라엘 이란 공격... 중동위기 고조에 '이스라...
넥써쓰, 크로쓰 생태계 스테이블코인 USD1 도입 부각 '강세'...
미스터블루, 웹툰 세액공제 지원 본격화... 민주당, 'K-콘텐츠' ...
헥토파이낸셜, 스테이블코인 시장 진출... '하이파이브랩'과 스...
아이티센글로벌 자회사 크레더, 중동 바레인 경제개발위원회와 ...
모델솔루션, 애플, 가정용 로봇 개발 박차… 애플 협력사 부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