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 뉴스센터 > 취재

'강제적 셧다운제' 2022년 1월 1일부터 폐지... '게임시간 선택제'로 제도 일원화

2022년01월01일 18시35분
게임포커스 김성렬 기자 (azoth@gamefocus.co.kr)

 

법안 시행 이후 10년 동안 국내 게임 산업을 옥죄었던 '강제적 셧다운제' 법안이 폐지 절차를 밟고 오늘(2022년 1월 1일)부로 전면 폐지됐다. 게임 이용 시간과 관련된 제도는 '게임시간 선택제'로 일원화 된다.

 


 

청소년법 개정을 통해 강제적 셧다운제가 폐지됨에 따라, 2022년 1월 1일부터는 16세 미만 청소년들도 자정(오전 0시)부터 오전 6시까지 게임을 이용 가능하게 됐다. 넥슨, 라이엇 게임즈, 미호요 등 국내에 게임을 서비스하는 게임사들은 속속 강제적 셧다운제 폐지와 관련된 공지사항을 게재하고 있다.

 

셧다운제 개선 또는 폐지와 관련된 여론은 지난해 '마인크래프트'와 관련된 이슈가 공론화 되면서 급물살을 탔다. 게이머들이 크게 반발하고 나서자 정계에서도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고, 이에 정부에서는 '규제 챌린지'를 통해 건의되었던 15개 과제 중 하나로 선정하고 셧다운제에 대한 개선을 지시한 바 있다.

 


 

2021년 하반기 추진됐던 '규제 챌린지'는 민간과 정부가 협력해 각 산업계가 직면해 있는 과도한 규제들을 도전적인 방식으로 개선하고, 해외 주요 국가보다 더 낮거나 동등한 수준의 규제 수위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정부 과제다.

 


 

'강제적 셧다운제'는 게임 업계와 관련된 대표적인 규제 법안으로 인식되어 왔다. 청소년들의 수면권 보장을 이유로 강제적으로 게임 이용 시간을 제한하는 법안으로, 국내 게임사들이 이 법을 준수하기 위해 불필요한 자원과 인력을 투자해야 한다는 점 때문에 역차별 논란이 나온 바 있다. 법안 발의 당시에도 업계는 크게 반발했으나 통과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특히 강제적 셧다운제가 적용되는 범위는 국내 서비스되는 PC 온라인게임에 한정되어, '스팀' 등의 ESD와 모바일, 콘솔 플랫폼으로의 이용자 층 이동 등 발빠르게 변화하는 산업의 상황을 온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도 있어 왔다. 심지어 이미 시간 선택제 등의 일명 '선택적 셧다운제'도 함께 공존해 이중 규제 논란까지 제기됐다.

 

더불어 '강제적 셧다운제'와 관련해 지난 10년 동안 실효성 측면에서 꾸준히 연구가 이루어져 수면 시간 증가 및 게임 이용 시간 감소 등이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다는 것이 밝혀졌음에도 폐지는 요원한 상황이었다. 지난 19대, 20대 국회에서도 개정안이 발의되었지만 끝내 개정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정부 과제인 '규제 챌린지'에 포함됐던 강제적 셧다운제가 폐지되고 오늘(2022년 1월 1일)부터 개정된 청소년 보호법이 적용됨에 따라, 보호자와 자녀가 자율적으로 게임 이용 시간을 조절하는 '게임시간 선택제'(문화체육관광부 게임 산업법)로 제도가 일원화 된다.

 

이번 '강제적 셧다운제' 폐지와 관련해 김경선 여성가족부 차관은 "게임이용에 있어 청소년의 자기결정권과 가정 내 자율적 선택권이 보장되는 방향으로 제도가 개선되었다”며 "관계부처와 협조하여 게임이용 교육과 정보제공을 확대하는 한편, 청소년 보호 주무부처로서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치유 캠프 운영 등 청소년의 건강한 일상회복을 위한 지원을 강화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조영기 한국게임산업협회 신임 협회장 "게...
에이치투 '크루세이더 킹즈 III' PC 한국어...
크래프톤, 1분기 역대 최대 분기 매출 8742...
위메이드 '판타스틱 베이스볼' 서비스 400...
넷마블 '킹 아서: 레전드 라이즈' 대규모 ...
kakao LINE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목록으로 목록으로 스크랩하기
로그인 한 사용자만 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숨기기
댓글 1 예비 베플
게이머라면 이 모든 사태를 이끌어낸 유튜브의 g식백과의 언급은 기사 중에 단 한 마디도 없는 것이 이해가 되시는지? 정말 g식백과가 없었으면 이 거대한 변혁이 정말로 이루어졌을 것이라고 생각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 정말 기사의 바이라인을 걸고 보도와 기자의 가치를 아시는 분이라면 사실관계를 아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만,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naver_32735193 | 01.02 17:16
댓글 0
4 1
게이머라면 이 모든 사태를 이끌어낸 유튜브의 g식백과의 언급은 기사 중에 단 한 마디도 없는 것이 이해가 되시는지? 정말 g식백과가 없었으면 이 거대한 변혁이 정말로 이루어졌을 것이라고 생각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 정말 기사의 바이라인을 걸고 보도와 기자의 가치를 아시는 분이라면 사실관계를 아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만,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naver_32735193 | 01.02 17:16
댓글 0
4 1
1

많이 본 뉴스

모델솔루션, 애플, 가정용 로봇 개발 박차… 애플 협력사 부각 '...
에스엠코어, SK 로봇 사업 본격화... SK그룹 내 스마트팩토리 자...
아이언디바이스, HBM 이을 SiC 관심... SiC·GaN 전력반도체 파...
모비데이즈, 틱톡 세계 최초 시각 인식 AI 공개 소식에 '상승세'...
디아이씨, 글로벌 휴머노이드 로봇 업체와 감속기 기술 공급 논...
자비스, 유리기판 검사장비 상반기 첫 공급 예정 소식에 '강세'...
피아이이, 유리기판 TGV 검사 기술 보유... 삼성전자 유리기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