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제공 : '피아비키의 문화공작소' 운영자 피아비키(http://jhwhjn.blog.me/220469707999)
언제부턴가 우리 사회는 분열로 가득하다. 과거 8-90년대 절정이었던 지역갈등이 '3金 시대'의 종결과 함께 사라지나 했더니, 21세기 들어서는 세대 간 갈등이 그 자리를 대신했다. 1997년 IMF가 초래한 부작용 덕분에, 청년층, 장년층, 노년층 할 것 없이 각자가 억울함과 논리를 내세우며 팽팽한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중이다.
거기에 2000년대 중반부터는 슬그머니 남녀간의 분열 현상도 나타났다. 심각한 취업난 속에서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활발해지면서, 여성들이 그 어느때 보다 강력한 남성들의 경쟁자로 부각되기 시작한 탓이다. 그것은 자연스레 남녀 간의 데이트 비용 분담 문제나 결혼혼수 분담, 육아와 양육의 역할 분담 등, 전통적인 성역할에 대한 논쟁까지 확대되었다. 그것도 남녀 개인적 영역이 아닌, 전 사회적 영역에서 말이다.
어찌보면 우리 사회는 분열과 대립에 익숙한 것처럼 보인다. 광복 이후 국토가 남북으로 갈라진 것부터, 아니 그보다 조선시대 붕당정치나 훈구파와 사림파, 노론과 소론의 대립도 그랬다. 굳이 조선 이전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지 않아도 우리 역사속에서 여러 이해관계 때문에 각 영역에서 두 거대한 세력이 갈등하는 사례를 찾아보기란 어렵지 않다.
그런데 요즘에는 이러한 갈등들이 좀더 세분화되는 양상을 보이는 것 같다. 특히 여성들 사이에서 말이다. 이미 남녀간의 갈등으로도 지치고 힘든데, 최근에는 여성들 사이에서의 갈등도 만만찮다. 워킹맘과 전업맘, 기혼녀와 미혼녀(주로 '노처녀'라고 불리는 이들), 일에 미친 여자들과 사랑에 빠진 여자들, 외모와 경제력에 따른 비교와 경쟁 등. 여성들간의 갈등 양상은 기존의 사회적 갈등과 달리, 매우 세부적이고 구체적이며 다양하다.
"여자는 질투의 화신"
여성들에 대한 사회적 규정의 한 단면이다. '여자=질투'라고 규정한 것은 남성들의 기준이었음이 분명하지만(그래서 여자 입장에서는 화가 나기도 하지만), 이러한 묘사가 무조건 틀린 것만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다만 '(모든) 여자 = 질투'라고 표현한 것이 부당할 뿐이다. 수정하자면 "일부 여자=질투심 강한 기질"이 맞지 않을까. 단, 여기서 '질투'가 무조건 나쁘다는 기존의 남성적 인식은 따르지 않는다는 전제하에서 말이다.
진 시노다 볼린의 <우리 속에 있는 여신들>은 '여성들의 다양한 성격과 기질'에 대해 다룬 여성 심리학 책이다. 그러나 보통의 심리학과 달리, <우리 속에 있는 여신들>은 분석기준을 그리스,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여신들로 하고 있어서 남성들도 흥미롭게 읽을 수 있다.
저자는 이에 대해 아르테미스, 아테나, 헤타이아를 독립적이고 누군가에게 의지하지 않는 성격이라는 점에서 '처녀' 여신으로 규정한다. 여기서 '처녀'는 '독신'의 의미에 가까운 의미, 즉 미혼이 아니라 '비혼' 의미로서의 처녀를 뜻한다.
아르테미스 (좌), 아테나 (우). 헤타이아는 의인화된 모습이 없다.
왼쪽부터 아프로디테, 헤라, 데메테르(좌), 데메테르에게 돌아오는 페르세포네(우)
비너스의 탄생 (보티첼리, 1486년)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