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 뉴스센터 > 해외

부분유료화 게임, 질 떨어진다고?

2012년01월19일 18시37분
게임포커스 정혁진 기자 (holic@gamefocus.co.kr)

 
넥슨에서 최초로 도입, 전세계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과금체제인 '부분 유료화' 모델을 적용하는 게임에 대해, 반다이남코게임즈에서 부정적인 견해를 보여 화제다.

반다이남코게임즈 유럽의 Oliver Comte 부사장은 오는 18일까지 영국 런던에서 개최되는 '클라우드 게이밍 유럽'을 통해 위와 같은 입장을 밝혔다.

Oliver Comte 부사장은 "부분 유료화 게임은 기본적으로 고퀄리티가 되지 않는다"라며, "대기업 입장에서는 최근 부분유료화가 유행이라는 이유로 리스크를 고려하지 않고 빠르게 이 모델(부분 유료화)을 적용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향후 몇십년 이후를 예측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내에서는 일부 MMORPG를 제외하고 거의 대부분이 부분 유료화 모델을 적용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해외 역시 이와 같은 추세이며, 온라인 게임 이외에도 콘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플랫폼도 다수 적용하고 있다. 해외에서 선두자리를 다투는 고퀄리티의 게임 중에도 부분유료화 모델은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게임 콘텐츠를 경험하고 필요에 따른 유료 콘텐츠를 결제하는 수단은 매력적인 수단이다. 기업입장에서 유료모델에 신중하는 모습은 이해할 수 있지만 이를 게임의 퀄리티와 직결하는 생각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에이치투 인터렉티브, 505 게임즈 신작 '명...
스마일게이트 RPG '로스트아크' IP 관련 60...
넷마블 신작 '샹그릴라 프론티어' 신규 PV ...
넥슨, NYPC 10주년 기념 대학생 리그 'NYP...
네오플 '사이퍼즈' 서비스 14주년 쇼케이스...
kakao LINE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목록으로 목록으로 스크랩하기
로그인 한 사용자만 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숨기기
댓글 2 예비 베플
욕도 좋지만 그 돈 아까우면 정액제 게임은 어케 하?
부분유료화 | 02.03 17:35 삭제
댓글 0
38 23
부분유료화가 정액제에 비해 많은 유저를 끌어들일 수 있고, 또 아이템 기획만 잘 하면 게임밸런스 붕괴 없이 장사를 잘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죠. 반면 단점이라면 아이템기획이 잘못될 경우 게임밸런스는 물론이요, 장사도 안되고 유저도 떠나가고 답없는 게임이 될 가능성이 높고, 또 애초에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개념이라 판매 의도에 관계 없이 악덕업체로 몰릴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것. 실제로 뭐 악덕업체란 말을 들어도 이상할 것 전연 없기도 하고, 금융경제에서 파생상품 나왔다가 줄줄이 망하고 도산하는거랑 비슷한 거라서 그저 좋게만 볼 수 없는게 사실임. 아무리 이렇게 말해도 살 사람은 사고, 팔 사람은 팔겠지만 어휴ㅋㅋㅋㅋ
asdf | 01.19 18:47 삭제
댓글 0
65 28
욕도 좋지만 그 돈 아까우면 정액제 게임은 어케 하?
부분유료화 | 02.03 17:35 삭제
댓글 0
38 23
부분유료화가 정액제에 비해 많은 유저를 끌어들일 수 있고, 또 아이템 기획만 잘 하면 게임밸런스 붕괴 없이 장사를 잘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죠. 반면 단점이라면 아이템기획이 잘못될 경우 게임밸런스는 물론이요, 장사도 안되고 유저도 떠나가고 답없는 게임이 될 가능성이 높고, 또 애초에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개념이라 판매 의도에 관계 없이 악덕업체로 몰릴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것. 실제로 뭐 악덕업체란 말을 들어도 이상할 것 전연 없기도 하고, 금융경제에서 파생상품 나왔다가 줄줄이 망하고 도산하는거랑 비슷한 거라서 그저 좋게만 볼 수 없는게 사실임. 아무리 이렇게 말해도 살 사람은 사고, 팔 사람은 팔겠지만 어휴ㅋㅋㅋㅋ
asdf | 01.19 18:47 삭제
댓글 0
65 28
1

많이 본 뉴스

코난테크놀로지, 정부 AI에 100조원 투자 목표... '소버린 AI 개...
넥써쓰, 국내 1위 KODA와 가상자산 커스터디 계약 체결...
에이치브이엠, 이스라엘 이란 공격... 중동위기 고조에 '이스라...
크라우드웍스, 네이버 지분투자, AI국책과제 공동 수행... 소버...
뱅크웨어글로벌, 스테이블코인법안 美 상원 통과... 네이버 금융...
미스터블루, 웹툰 세액공제 지원 본격화... 민주당, 'K-콘텐츠' ...
시프트업, 스텔라블레이드 글로벌 판매 1위에 동접 20만 명 육박...